➡️ 버닝차트활용하기(2016)/ㅡB::16'상한가자리연구

뉴보텍 -상한가자리연구

ToBURNING 2016. 4. 19.

금일 상한가자리 연구 ㅡ 뉴보텍, 경봉

 

 

○ 버닝차트로 살펴보는 뉴보텍의 전반적인 흐름

 

뉴보텍의 경우 작년 초 버닝구간 진입한 종목 중 가장 핫한 차트 중 하나였습니다. 버닝구간에서 너무 가파르게 상승하다보니 20+60이탈 후 주가는 급격히 힘을 잃어 갔고, 240밴드 안으로 진입하자마자 주가는 마치 추풍낙엽처럼 줄줄이 하락해갔습니다. 버닝차트에서 보는 주요 지지라인대 이탈은 물론 재대로된 60일 반등도 없이 3차지지구간까지 하락을 한 주가는 이후 다시 기지개를 펴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일봉을 기준으로 우리가 매수가능한 구간은 한정적이라는 사실입니다. 가령 주가가 60+240눌림목에 실패한 자리라던지 지지구간 이탈자리에서 매매를 하게 되면? 당연히 손실가능성이 높겠죠? 즉, 우리가 수익을 내기위해서는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있는 구간에 배팅을 해야하고, 우리는 지금까지 그 자리를 알아가기 위해 반복적으로 상한가자리라던지 상승특징주를 연구해온 것입니다.

 

금일 상한가자리만 보더라도 240상단 1차적 저항 후 눌림을 주는 구간에서 등장했습니다. 물론 60일선이 잠시 이탈되었었지만, 240중심선 지지후 바로 회복해내며 상한가에 진입한 모습입니다. 240중심선 지지의 중요성이야 지금까지 너무 많이 이야기 해왔었죠?

 

 

뉴보텍 최근 30분봉을 보면, 버닝구간이탈 후 별다른 반등 없이 720, 960일선까지 곧장 하락한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뭔가 익숙하죠? 해당 30분봉 차트는 바로 일봉으로만 살펴보았던 "과대낙폭패턴" 중 하나입니다. 이떄 가장 기본적인 포인트는 60일선과의 이격도(물론 240밴드진입후 반등이 있었냐도 중요)입니다. 분명 주가는 60일회귀법칙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상승 내지 과도하게 하락할 경우 어떠한 저항대나 지지대를 기점으로 60일선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습니다. 위 차트를 보면 60일선과 이격도가 벌어진 자리인 3차지지대 부근 즉 720, 960일선라인대에서 (단기적으로) 60일선까지는 기본적으로 반등이 이루어진 것을 체크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과대낙폭패턴의 경우 비단 위 차트 뿐만 아니라 수 많은 차트에 이미 해답처럼 나와있는 패턴입니다.

 

(추가)

그럼 혹자는 "그럼 안전하게 과대낙폭패턴만 매수하지 왜 위험을 무릅쓰고 60상단돌파나 버닝구간진입자리에 매수를 하냐는" 질문을 저에게 던질 수도 있습니다. 일단 위 질문 자체에는 여러가지 오류가 숨어있습니다.

과대낙폭주가 안전하다? 물론 60일선의 이격도가 벌어져 있으니 분명 단기 반등할 가능성이 높은게 사실이나 자칫 시장폭락 또는 회사악재와 같은 예상 못한 변수가 등장한다면? 해당자리는 60일선 위에 있는 주가(우리들의 매수원칙)들 보다 더욱 깊숙히 하락하게 될 것입니다. (720,960일선 지지실패시 주가는 침체기에 진입할 가능성 높음) 즉, 과대낙폭은 자칫 작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을 수도 있는 자리이니 만큼 위험성 측면에서는 60상단돌파나 버닝구간진입자리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험을 무릅쓰고 60상단돌파, 버닝구간진입자리에 매수하는가? 해당자리는 분명 주가변동성이 커지는 자리이니 만큼 순간적인 대응이 미숙하다면 위험해질 수도 있습니다. 다만 과대낙폭패턴자리가 아닌 해당자리에서 상승하게 되면 단기적으로 훨씬 더 큰 수익을 노릴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이 있기때문에 우리는 해당자리를 좀 더 선호 하는 것이지요. 즉 짧게 손절, 큰 수익! 다시 말해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노릴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우린 해당자리를 연구하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사실 확률 통계상 가장 안전한 자리는 과대낙폭도 버닝구간진입자리도 아닌, 240밴드안에서 이루어지는 20일, 60일 돌파자리나 눌림자리입니다, 참고)

 

#뉴보텍

반응형

댓글